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avaScript18

[JS]JavaScript 객체와 배열 완벽 가이드 JavaScript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객체(Object)와 배열(Array)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객체(Object)의 이해 1-1) 객체 생성 방법JavaScript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let obj1 = new Object(); // 객체 생성자 방식let obj2 = {}; // 객체 리터럴 방식 (권장)1-2) 객체 프로퍼티 다루기객체는 key와 value 쌍으로 이루어진 프로퍼티들의 집합입니다.let person = { name: "문과생", age: 35, hobby: "없음", job: "Web Developer", "like cat": true // 띄어쓰기가 있는 프로퍼티명};1-3) 프로퍼티 접근 방법// 점 표기.. 2025. 1. 3.
[JS] 자바스크립트의 조건문 마스터하기: switch문과 if문 완벽 가이드 1. 기본 개념과 차이점1-1) 평가 방식의 차이switch문과 if문은 조건을 처리하는 방식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if문은 다양한 조건식을 평가할 수 있지만, switch문은 주로 단일 값의 일치 여부를 확인합니다1-2) 성능과 실행 메커니즘switch문은 점프 테이블을 사용하여 해당 case로 직접 이동하는 반면, if문은 조건을 순차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는 많은 조건을 처리할 때 switch문이 더 효율적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2. 실제 사용 예시 2-1) 요일별 일정 관리(switch)const day = new Date().getDay();switch(day) { case 0: console.log("일요일: 휴식"); break; case 1: .. 2025. 1. 3.
[JS] NULL 병합 연산자 NULL 병합 연산자란? 존재하는 값을 추려내는 기능을 한다. 변수 값이 NULL 또는 Undefined가 아닌 값을 찾아내는 연산자이다.주의할 점은 '0', ""(빈 문자열), false는 Falsy한 값들이지만 NULL 병합 연산자에서는 유효한 값으로 판단한다. 1. 기본 구문let result = a ?? b;  NULL 병합 연산자는 ?? 를 사용한다. 변수 a 와 b를 비교하여 부합하는 값을 result 변수에 저장하게 된다.NULL 병합 연산자를 이용하여 위의 구문을 그대로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a 변수가 NULL 또는 Undefined 인 경우 b의 값을 result에 저장한다.> a 변수가 NULL 또는 Undefined가 아닌 경우 b의 값은 상관없이 a의 값을 result에 저장한다.. 2024. 9. 21.
[JS] 형 변환(Type conversion) 이란? 형 변환이란?데이터의 유형을 다른 데이터 유형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크게 "묵시적 형 변환", "명시적 형 변환"으로나눌 수 있다. 1. 묵시적 형 변환자바스크립트는 두 값을 연산을 수행할 때 종종 자동으로 형 변환을 한다. * 문자열과 숫자 더하기 let a = 5; // numlet b = "10"; // stringconsole.log(a+b); // 결과값 : 510> 문자열과 숫자를 더할 경우 a 변수의 형을 num에서 string으로 자동 변환되어 문자열 + 문자열이 된다.* 문자열과 숫자 곱하기let a = 5; // numlet b = "10"; // stringconsole.log(a*b); // 결과값 : 50> 곱할 때는 문자열 b이 st.. 2024. 9. 20.
[JS] 스코프란 무엇인가?(블록 스코프, 전역 스코프, 함수 스코프) 스코프(Scope)란? 변수가 어느 위치에서 접근 가능한 지를 결정하는 규칙을 말한다.(변수의 유효 범위)자바스크립트에는 크게 전역 스코프, 함수 스코프, 블록 스코프 세 가지 주요 스코프가 있다. 전역 스코프(Global Scope)전역 변수는 함수나 블록 밖에서 선언되며, 자바스크립트 코드 어디서든 접근 가능하다. 전역 변수는 프로그램 전체에 걸쳐 사용되므로 매우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예시// 전역변수 설정let globalVariable = "global";function test(){ // 함수 내에서도 접근 가능 console.log(globalVariable); // 결과값 : global}// 함수 호출test(); // 전역.. 2024. 9. 18.
[JS] var, const, let 변수의 종류와 차이점을 알아보자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으로는 주로 var, let, const 세가지 키워드를 사용한다.그렇다면, 이 세가지 키워드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으며, 차이점을 무엇일까? var 변수var는 ES6 이전에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던 방식으로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특징- 함수 스코프(Function Scope): var 변수는 함수 내에서만 유효하며, 함수 외부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블록( { } ) 내에서 선언을 해도 블록 스코프가 적용되지 않는다. (스코프란? : 2024.09.18 - [Programming/Javascript] - [JS] 스코프란 무엇인가?(블록 스코프, 전역 스코프, 함수 스코프) )- 중복 선언 가능: 같은 이름의 변수를 다시 선언해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값이 덮.. 2024. 9. 18.
반응형